위지원의 데이터 일기 🐈
Home
  • 분류 전체보기 (564)
    • ✎ 2025년 (5)
    • 2024년 (16)
    • 2023년 (6)
    • 2022년 (35)
      • Developement (22)
      • Error (9)
    • 2021년 (68)
      • ERROR (9)
      • 알고리즘 (11)
      • 개발공부 (21)
      • Data (15)
      • 21.下 (12)
    • 2020년 (164)
      • 코테 (84)
      • Development (29)
      • 정처기 (41)
    • 2019년 (27)
    • 2018년 (89)
      • English Speaking (8)
      • Error (12)
      • C, Java, FileSystem (13)
      • DataBase (15)
      • Java (2)
      • 지식 (16)
      • Go (3)
      • spark (9)
      • 영어 (5)
      • 알고리즘 (6)
    • 2017년 (143)
      • Error (17)
      • machine learning (16)
      • Spark (20)
      • Database (19)
      • Python (17)
      • Spring (9)
      • etc. (10)
      • 백준 (5)
      • Google Platform (12)
      • web Development (7)
      • Docker (3)
      • Linux (8)
Home
  • 분류 전체보기 (564)
    • ✎ 2025년 (5)
    • 2024년 (16)
    • 2023년 (6)
    • 2022년 (35)
      • Developement (22)
      • Error (9)
    • 2021년 (68)
      • ERROR (9)
      • 알고리즘 (11)
      • 개발공부 (21)
      • Data (15)
      • 21.下 (12)
    • 2020년 (164)
      • 코테 (84)
      • Development (29)
      • 정처기 (41)
    • 2019년 (27)
    • 2018년 (89)
      • English Speaking (8)
      • Error (12)
      • C, Java, FileSystem (13)
      • DataBase (15)
      • Java (2)
      • 지식 (16)
      • Go (3)
      • spark (9)
      • 영어 (5)
      • 알고리즘 (6)
    • 2017년 (143)
      • Error (17)
      • machine learning (16)
      • Spark (20)
      • Database (19)
      • Python (17)
      • Spring (9)
      • etc. (10)
      • 백준 (5)
      • Google Platform (12)
      • web Development (7)
      • Docker (3)
      • Linux (8)
블로그 내 검색
포트폴리오

위지원의 데이터 일기 🐈

데이터를 사랑하고 궁금해하는 기록쟁이입니다! 😉 Super Data Girl이 되는 그날까지🏃‍♀️ 화이팅!

  • 🖥 깃블로그
  • 🌍 위키원
  • 📑 내맘대로 스크랩
  • 💌 메일
  • 2017년/web Development

    xml과 json

    2017. 7. 5. 15:23

    by. 위지원

    http://www.cs.tufts.edu/comp/150IDS/final_papers/tstras01.1/FinalReport/FinalReport.html

    http://www.yegor256.com/2015/11/16/json-vs-xml.html

    을 보고 공부한 내용


    introduction


    • xml과 json은 오늘날 웹 데이터 교환을 위한 두 가지의 일반적인 형식
    • xml의 목적은 문서 마크업
    • json의 목적은 구조화 된 데이터 교환


    xml이 json보다

    • xml은 meta data를 속성의 형태로 태그에 넣을 수 있음
    • 읽기 매우쉽고 쳬게적인 방식으로 렌더링
    • xml의 트리구조는 브라우저에서 사용자가 자연적으로 개별 트리요소를 축소할 수 있게 하여 디버깅에 유용
    • 구조화 된 마크업을 포함하는 문자열 전달 


    json이 xml보다

    -기존 프로그래밍 언어구조와 비슷

    -xml에 비해 작다(태그를 열고 닫거나 하는 귀찮은 그런...큰..느낌?) 그래서 전송/처리가 빠름

    -직렬화,역직렬화되어있음

    -cpu 자원활용에 xml을 능가(모바일 장치에서도!!)

    -호스트 언어로 해당 데이터 구조에 직접 매핑 가능

    -js코드에 들어 맞음(다른 언어도 ..무려 64가지 프로그래밍 언어에 대한 175가지 이상의 도구가 나와있어 단점극뽂)


    라고 도 말하지만 한편으론 http://www.yegor256.com/2015/11/16/json-vs-xml.html 이 사람의 말론..


    json은 단지 데이터형식으로써 짧고 읽기쉬운게 다라고도 말하는중..

    xml은 데이터 형식이 아닌 언어이기때문에 기능도 있고.. 

    최상의 사용사례는 ajax통신이며 데이터형식일뿐인 json 보단 xml이 낫다..라고 말하는거 같다

    '2017년 > web Development' 카테고리의 다른 글

    jpa를 알아보자  (0) 2017.08.10
    mysql과 spring을 연동해보자  (0) 2017.08.07
    웹개발환경을 구축해보자 [spring framework,maven]  (0) 2017.08.07
    세션과 자스의 이해  (0) 2017.07.19
    우분투에 mysql/eclipse/tomcat 설치해서 개발환경 구축하기  (1) 2017.06.29

    잠깐만요~! 읽으신김에 이런 글들은 어떠세요? 👀

    • mysql과 spring을 연동해보자 2017.08.07
    • 웹개발환경을 구축해보자 [spring framework,maven] 2017.08.07
    • 세션과 자스의 이해 2017.07.19
    • 우분투에 mysql/eclipse/tomcat 설치해서 개발환경 구축하기 2017.06.29
    맨 위로
전체 글 보기
Tistory 로그인
Tistory 로그아웃
로그아웃 글쓰기 관리

열정! 열정! 열정! 🔥

Designed by Nana
블로그 이미지
위지원
데이터와 관련된 일을 모두 좋아합니다

티스토리툴바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