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지원의 데이터 일기 🐈
Home
  • 분류 전체보기 (563)
    • ✎ 2025년 (4)
    • 2024년 (16)
    • 2023년 (6)
    • 2022년 (35)
      • Developement (22)
      • Error (9)
    • 2021년 (68)
      • ERROR (9)
      • 알고리즘 (11)
      • 개발공부 (21)
      • Data (15)
      • 21.下 (12)
    • 2020년 (164)
      • 코테 (84)
      • Development (29)
      • 정처기 (41)
    • 2019년 (27)
    • 2018년 (89)
      • English Speaking (8)
      • Error (12)
      • C, Java, FileSystem (13)
      • DataBase (15)
      • Java (2)
      • 지식 (16)
      • Go (3)
      • spark (9)
      • 영어 (5)
      • 알고리즘 (6)
    • 2017년 (143)
      • Error (17)
      • machine learning (16)
      • Spark (20)
      • Database (19)
      • Python (17)
      • Spring (9)
      • etc. (10)
      • 백준 (5)
      • Google Platform (12)
      • web Development (7)
      • Docker (3)
      • Linux (8)
Home
  • 분류 전체보기 (563)
    • ✎ 2025년 (4)
    • 2024년 (16)
    • 2023년 (6)
    • 2022년 (35)
      • Developement (22)
      • Error (9)
    • 2021년 (68)
      • ERROR (9)
      • 알고리즘 (11)
      • 개발공부 (21)
      • Data (15)
      • 21.下 (12)
    • 2020년 (164)
      • 코테 (84)
      • Development (29)
      • 정처기 (41)
    • 2019년 (27)
    • 2018년 (89)
      • English Speaking (8)
      • Error (12)
      • C, Java, FileSystem (13)
      • DataBase (15)
      • Java (2)
      • 지식 (16)
      • Go (3)
      • spark (9)
      • 영어 (5)
      • 알고리즘 (6)
    • 2017년 (143)
      • Error (17)
      • machine learning (16)
      • Spark (20)
      • Database (19)
      • Python (17)
      • Spring (9)
      • etc. (10)
      • 백준 (5)
      • Google Platform (12)
      • web Development (7)
      • Docker (3)
      • Linux (8)
블로그 내 검색
포트폴리오

위지원의 데이터 일기 🐈

데이터를 사랑하고 궁금해하는 기록쟁이입니다! 😉 Super Data Girl이 되는 그날까지🏃‍♀️ 화이팅!

  • 🖥 깃블로그
  • 🌍 위키원
  • 📑 내맘대로 스크랩
  • 💌 메일
  • 2020년/정처기

    [2020 정보처리기사 실기] Section 04 . 통합 구현(1/3)

    2020. 4. 15. 18:15

    by. 위지원

    1. 연계 요구사항 분석
      1. 1. 통합 구현이란?
      2. 2. 연계 요구사항 분석 절차 (외우기 위해서 키워드만)
    2. 연계 데이터 식별 및 표준화
      1. 1. 연계 데이터 식별 및 표준화 절차
    3. 연계 메커니즘 정의
      1. 1. 연계 메커니즘 정의
      2. 2. 직접 연계방식과 간접 연계방식

    이전글

    2020/04/14 - [2020년도 상반기/정처기] - [2020 정보처리기사 실기] Section 03 . 데이터 입력 및 출력 구현(3/3)

    연계 요구사항 분석

    1. 통합 구현이란?

     사용자의 요구사항에 맞춰 송/수신 모듈과 중계 모듈 간의 연계를 구현하는 것으로 구성은 아래와 같음

     

    2. 연계 요구사항 분석 절차 (외우기 위해서 키워드만)

    1. HW/SW/네트워크 확인
    2. 코드/테이블 정의서 확인
    3. 체크리스트 작성
    4. 인터뷰/설문조사 실시
    5. 요구사항 분석서 작성

     

    연계 데이터 식별 및 표준화

    1. 연계 데이터 식별 및 표준화 절차

    1. 범위 및 항목 정의
      • 송/수신 시스템 연계 항목이 서로 다를 경우 일반적으로 수신 시스템 기준으로
    2. 코드 변환 및 매핑
    3. 데이터 식별자와 변경 구분 추가
    4. 데이터 표현 방법 정의
      • 데이터 형식은 크게 데이터베이스 테이블과 데이터베이스 파일로 구분되며 데이터베이스 파일은 다시 태그. 콤마 등 구분자에 의해 구분
    5. 정의서 및 명세서 작성

     

    연계 메커니즘 정의

    1. 연계 메커니즘 정의

    송신  : 데이터의 생성 및 전송을 담당

    수신  : 데이터 수신 및 운영 DB반영을 담당

    중계  : 송수신 시스템 현황을 모니터링

     

    2. 직접 연계방식과 간접 연계방식

      직접 연계 방식 간접 연계 방식
    설명 중간 매개체 X 중간 매개체 O
    장점

    - 개발기간이 짧고 비용이 저렴하다

    - 데이터 연계 처리 성능이 뛰어나다

    - 연계 및 통합 구현이 단순하고 용이

    - 다양한 환경의 연계 및 통합이 가능

    - 인터페이스가 변경되어도 오류 없이 서비스 가능

    - 보안 품질 보장과 비즈니스 처리를 위한 로직반영의 용이

    단점

    - 결합도가 높아 시스템 변경시 오류발생

    - 보안 품질 보장과 비즈니스 처리를 위한 로직반영의 어려움

    - 연계 및 통합 환경이 제한적

    - 연계 메커니즘 및 아키텍쳐 복잡

    - 중간 매개체로 인한 성능 저하

    - 개발 및 적용기간이 비교적 김

    종류 DB Link, API, DB connection(WAS), JDBC 연계 솔루션(EAI), ESB, Socket, Web Service

    ++ 추가

     

    전송주기는 실시간 분, 시간, 일 단위등으로 설정할 수 있으며 다음항목에 의해 결정됨

    송신 : 데이터를 생성 및 추출하는 방식

    연계 : 송/수신 어뎁터의 연계 주기

    수신 : 데이터를 운영DB에 반영하는 방식

     

    다음글

    2020/04/15 - [2020년도 상반기/정처기] - [2020 정보처리기사 실기] Section 04 . 통합 구현(2/3)

     

    profile
    위지원

    데이터 엔지니어로 근무 중에 있으며 데이터와 관련된 일을 모두 좋아합니다!. 특히 ETL 부분에 관심이 가장 크며 데이터를 빛이나게 가공하는 일을 좋아한답니다 ✨

    저작자표시 (새창열림)

    '2020년 > 정처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0 정보처리기사 실기] Section 04 . 통합 구현(3/3)  (0) 2020.04.16
    [2020 정보처리기사 실기] Section 04 . 통합 구현(2/3)  (0) 2020.04.15
    [2020 정보처리기사 실기] Section 03 . 데이터 입력 및 출력 구현(3/3)  (0) 2020.04.14
    [2020 정보처리기사 실기] Section 03 . 데이터 입력 및 출력 구현(2/3)  (0) 2020.04.14
    [2020 정보처리기사 실기] Section 03 . 데이터 입력 및 출력 구현(1/3)  (0) 2020.04.14

    잠깐만요~! 읽으신김에 이런 글들은 어떠세요? 👀

    • [2020 정보처리기사 실기] Section 04 . 통합 구현(3/3) 2020.04.16
    • [2020 정보처리기사 실기] Section 04 . 통합 구현(2/3) 2020.04.15
    • [2020 정보처리기사 실기] Section 03 . 데이터 입력 및 출력 구현(3/3) 2020.04.14
    • [2020 정보처리기사 실기] Section 03 . 데이터 입력 및 출력 구현(2/3) 2020.04.14
    맨 위로
전체 글 보기
Tistory 로그인
Tistory 로그아웃
로그아웃 글쓰기 관리

열정! 열정! 열정! 🔥

Designed by Nana
블로그 이미지
위지원
데이터 엔지니어로 근무 중에 있으며 데이터와 관련된 일을 모두 좋아합니다!. 특히 ETL 부분에 관심이 가장 크며 데이터를 빛이나게 가공하는 일을 좋아한답니다 ✨

티스토리툴바

티스토리툴바

단축키

내 블로그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Q
Q
새 글 쓰기
W
W

블로그 게시글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E
E
댓글 영역으로 이동
C
C

모든 영역

이 페이지의 URL 복사
S
S
맨 위로 이동
T
T
티스토리 홈 이동
H
H
단축키 안내
Shift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