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ttp://www.cs.tufts.edu/comp/150IDS/final_papers/tstras01.1/FinalReport/FinalReport.html
http://www.yegor256.com/2015/11/16/json-vs-xml.html
을 보고 공부한 내용
introduction
- xml과 json은 오늘날 웹 데이터 교환을 위한 두 가지의 일반적인 형식
- xml의 목적은 문서 마크업
- json의 목적은 구조화 된 데이터 교환
xml이 json보다
- xml은 meta data를 속성의 형태로 태그에 넣을 수 있음
- 읽기 매우쉽고 쳬게적인 방식으로 렌더링
- xml의 트리구조는 브라우저에서 사용자가 자연적으로 개별 트리요소를 축소할 수 있게 하여 디버깅에 유용
- 구조화 된 마크업을 포함하는 문자열 전달
json이 xml보다
-기존 프로그래밍 언어구조와 비슷
-xml에 비해 작다(태그를 열고 닫거나 하는 귀찮은 그런...큰..느낌?) 그래서 전송/처리가 빠름
-직렬화,역직렬화되어있음
-cpu 자원활용에 xml을 능가(모바일 장치에서도!!)
-호스트 언어로 해당 데이터 구조에 직접 매핑 가능
-js코드에 들어 맞음(다른 언어도 ..무려 64가지 프로그래밍 언어에 대한 175가지 이상의 도구가 나와있어 단점극뽂)
라고 도 말하지만 한편으론 http://www.yegor256.com/2015/11/16/json-vs-xml.html 이 사람의 말론..
json은 단지 데이터형식으로써 짧고 읽기쉬운게 다라고도 말하는중..
xml은 데이터 형식이 아닌 언어이기때문에 기능도 있고..
최상의 사용사례는 ajax통신이며 데이터형식일뿐인 json 보단 xml이 낫다..라고 말하는거 같다
위지원데이터 엔지니어로 근무 중에 있으며 데이터와 관련된 일을 모두 좋아합니다!. 특히 ETL 부분에 관심이 가장 크며 데이터를 빛이나게 가공하는 일을 좋아한답니다 ✨
'2017년 > web Development' 카테고리의 다른 글
jpa를 알아보자 (0) 2017.08.10 mysql과 spring을 연동해보자 (0) 2017.08.07 웹개발환경을 구축해보자 [spring framework,maven] (0) 2017.08.07 세션과 자스의 이해 (0) 2017.07.19 우분투에 mysql/eclipse/tomcat 설치해서 개발환경 구축하기 (0) 2017.06.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