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지원의 데이터 일기 🐈
Home
  • 분류 전체보기 (563)
    • ✎ 2025년 (4)
    • 2024년 (16)
    • 2023년 (6)
    • 2022년 (35)
      • Developement (22)
      • Error (9)
    • 2021년 (68)
      • ERROR (9)
      • 알고리즘 (11)
      • 개발공부 (21)
      • Data (15)
      • 21.下 (12)
    • 2020년 (164)
      • 코테 (84)
      • Development (29)
      • 정처기 (41)
    • 2019년 (27)
    • 2018년 (89)
      • English Speaking (8)
      • Error (12)
      • C, Java, FileSystem (13)
      • DataBase (15)
      • Java (2)
      • 지식 (16)
      • Go (3)
      • spark (9)
      • 영어 (5)
      • 알고리즘 (6)
    • 2017년 (143)
      • Error (17)
      • machine learning (16)
      • Spark (20)
      • Database (19)
      • Python (17)
      • Spring (9)
      • etc. (10)
      • 백준 (5)
      • Google Platform (12)
      • web Development (7)
      • Docker (3)
      • Linux (8)
Home
  • 분류 전체보기 (563)
    • ✎ 2025년 (4)
    • 2024년 (16)
    • 2023년 (6)
    • 2022년 (35)
      • Developement (22)
      • Error (9)
    • 2021년 (68)
      • ERROR (9)
      • 알고리즘 (11)
      • 개발공부 (21)
      • Data (15)
      • 21.下 (12)
    • 2020년 (164)
      • 코테 (84)
      • Development (29)
      • 정처기 (41)
    • 2019년 (27)
    • 2018년 (89)
      • English Speaking (8)
      • Error (12)
      • C, Java, FileSystem (13)
      • DataBase (15)
      • Java (2)
      • 지식 (16)
      • Go (3)
      • spark (9)
      • 영어 (5)
      • 알고리즘 (6)
    • 2017년 (143)
      • Error (17)
      • machine learning (16)
      • Spark (20)
      • Database (19)
      • Python (17)
      • Spring (9)
      • etc. (10)
      • 백준 (5)
      • Google Platform (12)
      • web Development (7)
      • Docker (3)
      • Linux (8)
블로그 내 검색
포트폴리오

위지원의 데이터 일기 🐈

데이터를 사랑하고 궁금해하는 기록쟁이입니다! 😉 Super Data Girl이 되는 그날까지🏃‍♀️ 화이팅!

  • 🖥 깃블로그
  • 🌍 위키원
  • 📑 내맘대로 스크랩
  • 💌 메일
  • 2020년/Development

    python 서로 겹치지 않는 세자리 수 배열 만들기

    2020. 4. 26. 17:35

    by. 위지원

    numbers = [ str(x) for x in range(1, 10) ] 
    #참조할 배열을 만들고
    
    candidates = [ 
        numbers[x] + numbers[y] + numbers[z] 
        for x in range(9) 
        for y in range(9) 
        for z in range(9) 
        if x != y and y != z and z != x 
    ]
    #앞서 작성한 참조배열을 가지고 만들면 됨
    >>> can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2',
    '134', '135', '136', '137', '138', '139', '142', '143', 
    '145', '146', '147', '148', '149', '152', '153', '154', 
    '156', '157', '158', '159', '162', '163', '164', '165', 
    '167', '168', '169', '172', '173', '174', '175', '176', 
    '178', '179', '182', '183', '184', '185', '186', '187', 
    '189', '192', '193', '194', '195', '196', '197', '198', 
    '213', '214', '215', '216', '217', '218', '219', '231', 
    '234', '235', '236', '237', '238', '239', '241', '243', 
    '245', '246', '247', '248', '249', '251', '253', '254', 
    ... 생략
    '954', '956', '957', '958', '961', '962', '963', '964', 
    '973', '974', '975', '976', '978', '981', '982', '983', 
    '984', '985', '986', '987']

     

     

    오 

    저작자표시 (새창열림)

    '2020년 > Development' 카테고리의 다른 글

    python을 이용해서 정규 표현식을 공부해보자(feat.python의 re 라이브러리)  (0) 2020.05.26
    시간 복잡도  (0) 2020.04.28
    자료구조와 알고리즘 시각화 사이트  (0) 2020.04.28
    에라테스토네스의 체  (0) 2020.04.27
    Apache Accumulo 설치 #1  (0) 2020.04.22

    잠깐만요~! 읽으신김에 이런 글들은 어떠세요? 👀

    • 시간 복잡도 2020.04.28
    • 자료구조와 알고리즘 시각화 사이트 2020.04.28
    • 에라테스토네스의 체 2020.04.27
    • Apache Accumulo 설치 #1 2020.04.22
    맨 위로
전체 글 보기
Tistory 로그인
Tistory 로그아웃
로그아웃 글쓰기 관리

열정! 열정! 열정! 🔥

Designed by Nana
블로그 이미지
위지원
데이터 엔지니어로 근무 중에 있으며 데이터와 관련된 일을 모두 좋아합니다!. 특히 ETL 부분에 관심이 가장 크며 데이터를 빛이나게 가공하는 일을 좋아한답니다 ✨

티스토리툴바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