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지원의 데이터 일기 🐈
Home
  • 분류 전체보기 (563)
    • ✎ 2025년 (4)
    • 2024년 (16)
    • 2023년 (6)
    • 2022년 (35)
      • Developement (22)
      • Error (9)
    • 2021년 (68)
      • ERROR (9)
      • 알고리즘 (11)
      • 개발공부 (21)
      • Data (15)
      • 21.下 (12)
    • 2020년 (164)
      • 코테 (84)
      • Development (29)
      • 정처기 (41)
    • 2019년 (27)
    • 2018년 (89)
      • English Speaking (8)
      • Error (12)
      • C, Java, FileSystem (13)
      • DataBase (15)
      • Java (2)
      • 지식 (16)
      • Go (3)
      • spark (9)
      • 영어 (5)
      • 알고리즘 (6)
    • 2017년 (143)
      • Error (17)
      • machine learning (16)
      • Spark (20)
      • Database (19)
      • Python (17)
      • Spring (9)
      • etc. (10)
      • 백준 (5)
      • Google Platform (12)
      • web Development (7)
      • Docker (3)
      • Linux (8)
Home
  • 분류 전체보기 (563)
    • ✎ 2025년 (4)
    • 2024년 (16)
    • 2023년 (6)
    • 2022년 (35)
      • Developement (22)
      • Error (9)
    • 2021년 (68)
      • ERROR (9)
      • 알고리즘 (11)
      • 개발공부 (21)
      • Data (15)
      • 21.下 (12)
    • 2020년 (164)
      • 코테 (84)
      • Development (29)
      • 정처기 (41)
    • 2019년 (27)
    • 2018년 (89)
      • English Speaking (8)
      • Error (12)
      • C, Java, FileSystem (13)
      • DataBase (15)
      • Java (2)
      • 지식 (16)
      • Go (3)
      • spark (9)
      • 영어 (5)
      • 알고리즘 (6)
    • 2017년 (143)
      • Error (17)
      • machine learning (16)
      • Spark (20)
      • Database (19)
      • Python (17)
      • Spring (9)
      • etc. (10)
      • 백준 (5)
      • Google Platform (12)
      • web Development (7)
      • Docker (3)
      • Linux (8)
블로그 내 검색
포트폴리오

위지원의 데이터 일기 🐈

데이터를 사랑하고 궁금해하는 기록쟁이입니다! 😉 Super Data Girl이 되는 그날까지🏃‍♀️ 화이팅!

  • 🖥 깃블로그
  • 🌍 위키원
  • 📑 내맘대로 스크랩
  • 💌 메일
  • 2020년/정처기

    [2020 정보처기기사 실기] Section 09. 소프트웨어 개발 보안 구축 #1

    2020. 5. 5. 18:49

    by. 위지원

    이전글

    2020/04/29 - [2020년도 상반기/정처기] - [2020 정보처리기사 실기]Section 08.SQL응용(사용자 정의 함수, 커서)

    소프트웨어 개발 보안

    소프트웨어 개발 보안은 데이터의 기밀성, 무결성, 가용성을 유지하는 것을 목표로 함

     

    소프트웨어 보안 취약점이 발생하는 경우

    • 보안 요구사항이 정의되지 않음
    • 논리적 오류가 포함된 소프트웨어 설계
    • 기술 취약점이 포함된 코딩 규칙
    • 부적절한 소프트웨어 배치
    • 취약점 발견시 부적절한 대응

     

    안전한 소프트웨어를 개발하기 위해선?

    • 프로젝트 관련자들의 역할/책임을 명확히 정의하고, 충분한 보안교육 실시
    • SDLC의 각 단계마다 보안 활동 수행
    • 개발 보안을 위한 표준 확립
    • 재사용이 가능한 보안 모듈 생성
    • 보안 통제의 효과성 검증 실시

     

    소프트웨어 개발 보안 관련기간

    • 행정안전부
      • 보안 정책 총괄
    • 한국인터넷진흥원(KISA)
      • 개발 보안 정책 및 가이드 개발
    • 발주기관
      • 개발 보안의 계획을 수립
    • 사업자
      • 개발 보안 관련 기술 수준 및 적용 계획 명시
    • 감리법인
      • 감리 계획을 수립하고 협의

     

    개발 보안 활동 관련 법령

    • 개인정보 보호법
    •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
    • 신용정보의 이용 및 보호에 관한 법률
    • 위치정보의 보호 및 이용 등에 관한 법률
    • 표준 개인정보 보호 지침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 조치 기준
    • 개인정보 영향평가에 관한 고시

     

    소프트웨어 개발 보안 활동 관련 기타 규정

    • RFID 프라이버시 보호 가이드라인
    • 위치정보의 보호 및 이용등에 관한 법률
    • 위치정보의 관리적, 기술적 보호조치 권고 해설서
    • 바이오정보 보호 가이드라인
    • 뉴미디어 서비스 개인정보 보호 가이드라인
      • 뉴미디어 서비스:클라우드 컴퓨팅서비스,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소셜 커머스 서비스, 스마트폰 활용 서비스

     

    Secure SDLC

    보안상 안전한 소프트웨를 개발하기 위해 SDLC에 보안 강화를 위한 프로세스를 포함한 것

    • Secure Software사의 CLASP
    • Microsoft사의 SDL

     

    요구사항 분석 단계에서의 보안 활동

    • 전산화되는 정보가 가지고 있는 보안수준을 보안 요소별로 등급을 구분
      • 보안 요소
    기밀성 - 허가된 사용자만 시스템 접근
    - 정보가 노출되더라도 읽을 수 없음
    무결성 허가된 사용자만 시스템 접근
    가용성 허가된 사용자는 언제든 사용 
    인증 - 허가된 사용자임?
    부인 방지 송/수신 증거를 제공, 송/수신 안했어!라고 부인할 수 없게

     

    • 정보보호 관련 보안 정책을 참고하여 출처, 요구 수준, 세부 내용등을 문서화

     

    설계 단계에서의 보안 활동

    식별된 보안 요구사항을 SW 설계서에 반영 및 보안 설계서 작성

    • 소프트웨어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위협(재산상의 손해) 을 식별하여 보안대책, 소요예산,사고 발생시 영향 범위와 대응책 수립
    • 환경에 대한 보안통제 기준 수립 및 설계에 반영
      • 네트워크 : 외부 공격 방어를 위해 네트워크 분리 및 방화벽 설치
      • 서버 : 보안 업데이트, 외부접속 접근 통제
      • 물리적 보안 : 감시설비를 설치
      • 개발 프로그램 : 허가되지 않은 프로그램 통제 및 지속적인 데이터 무결성 검사

     

    구현 단계에서의 보안 활동

    표준 코딩 정의서, 소프트웨어 개발 보안 가이드를 준수하며 설계서에 따라 보안 요구사항들을 구현

    • 지속적인 단위 테스트로 보안 취약점 최소화
    • 코드 점검 및 소스 코드 진단 작업을 통해 소스코드의 안전성 확보

    *시큐어 코딩 : 보안 요소들을 고려하여 코딩하는것

     

     

    테스트 단계에서의 보안 활동

    보안 설계서를 바탕으로 바안사항이 정확히 반영되고 동작하는지 점검

    • 정적,돈적 분석도구 또는 모의 침투테스트 시행

     

    유지보수 단계에서의 보안 활동

    추가적인 보안사고를 식별하고, 이를 해결하고 보안 패치 실시

     

    다음글

    2020/05/05 - [2020년도 상반기/정처기] - [2020 정보처리기사 실기] Section 09.소프트웨어 개발 보안 구축 #2

     

     

    저작자표시 (새창열림)

    '2020년 > 정처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0 정보처리기사 실기]Section 09.소프트웨어 개발 보안 구축 #3  (0) 2020.05.05
    [2020 정보처리기사 실기] Section 09.소프트웨어 개발 보안 구축 #2  (1) 2020.05.05
    [2020 정보처리기사 실기]Section 08.SQL응용(사용자 정의 함수, 커서)  (0) 2020.04.29
    [2020 정보처리기사 실기]Section 08.SQl응용(프로시저, 트리거)  (0) 2020.04.29
    [2020 정보처리기사 실기]Section 08. SQL 응용(SELECT)  (0) 2020.04.28

    잠깐만요~! 읽으신김에 이런 글들은 어떠세요? 👀

    • [2020 정보처리기사 실기]Section 09.소프트웨어 개발 보안 구축 #3 2020.05.05
    • [2020 정보처리기사 실기] Section 09.소프트웨어 개발 보안 구축 #2 2020.05.05
    • [2020 정보처리기사 실기]Section 08.SQL응용(사용자 정의 함수, 커서) 2020.04.29
    • [2020 정보처리기사 실기]Section 08.SQl응용(프로시저, 트리거) 2020.04.29
    맨 위로
전체 글 보기
Tistory 로그인
Tistory 로그아웃
로그아웃 글쓰기 관리

열정! 열정! 열정! 🔥

Designed by Nana
블로그 이미지
위지원
데이터 엔지니어로 근무 중에 있으며 데이터와 관련된 일을 모두 좋아합니다!. 특히 ETL 부분에 관심이 가장 크며 데이터를 빛이나게 가공하는 일을 좋아한답니다 ✨

티스토리툴바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