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지원의 데이터 일기 🐈
Home
  • 분류 전체보기 (564)
    • ✎ 2025년 (5)
    • 2024년 (16)
    • 2023년 (6)
    • 2022년 (35)
      • Developement (22)
      • Error (9)
    • 2021년 (68)
      • ERROR (9)
      • 알고리즘 (11)
      • 개발공부 (21)
      • Data (15)
      • 21.下 (12)
    • 2020년 (164)
      • 코테 (84)
      • Development (29)
      • 정처기 (41)
    • 2019년 (27)
    • 2018년 (89)
      • English Speaking (8)
      • Error (12)
      • C, Java, FileSystem (13)
      • DataBase (15)
      • Java (2)
      • 지식 (16)
      • Go (3)
      • spark (9)
      • 영어 (5)
      • 알고리즘 (6)
    • 2017년 (143)
      • Error (17)
      • machine learning (16)
      • Spark (20)
      • Database (19)
      • Python (17)
      • Spring (9)
      • etc. (10)
      • 백준 (5)
      • Google Platform (12)
      • web Development (7)
      • Docker (3)
      • Linux (8)
Home
  • 분류 전체보기 (564)
    • ✎ 2025년 (5)
    • 2024년 (16)
    • 2023년 (6)
    • 2022년 (35)
      • Developement (22)
      • Error (9)
    • 2021년 (68)
      • ERROR (9)
      • 알고리즘 (11)
      • 개발공부 (21)
      • Data (15)
      • 21.下 (12)
    • 2020년 (164)
      • 코테 (84)
      • Development (29)
      • 정처기 (41)
    • 2019년 (27)
    • 2018년 (89)
      • English Speaking (8)
      • Error (12)
      • C, Java, FileSystem (13)
      • DataBase (15)
      • Java (2)
      • 지식 (16)
      • Go (3)
      • spark (9)
      • 영어 (5)
      • 알고리즘 (6)
    • 2017년 (143)
      • Error (17)
      • machine learning (16)
      • Spark (20)
      • Database (19)
      • Python (17)
      • Spring (9)
      • etc. (10)
      • 백준 (5)
      • Google Platform (12)
      • web Development (7)
      • Docker (3)
      • Linux (8)
블로그 내 검색
포트폴리오

위지원의 데이터 일기 🐈

데이터를 사랑하고 궁금해하는 기록쟁이입니다! 😉 Super Data Girl이 되는 그날까지🏃‍♀️ 화이팅!

  • 🖥 깃블로그
  • 🌍 위키원
  • 📑 내맘대로 스크랩
  • 💌 메일
  • 2017년/machine learning

    tensorflow csv file 불러오기

    2017. 8. 7. 13:48

    by. 위지원

    record_defaults=record_defaults,

    출처: http://bcho.tistory.com/1165 [조대협의 블로그]
    record_defaults=record_defaults,

    출처: http://bcho.tistory.com/1165 [조대협의 블로그]

    1.파일을 텐써로 읽어올때에는..


    큐에 대한 내용은 http://weejw.tistory.com/64


    1.파일 목록을 읽어 파일목록 큐에 저장한다

    2.reader가 큐에서 파일명을 읽어온다.

    3.decoder 가 파일을 열어서 데이터를 읽어들인다.

    4.데이터를 정재한다.

    5.데이터를 학습데이터 큐에 저장한다.

    6.모델에서 학습데이터 큐에서 데이터를 읽어 학습한다.


    라고한다. 하지만 우리는 우선적으로 파일하나를 이용하기 때문에 3. 부터 진행한다.



    2.파일에서 파일에서 읽어오는 컴포넌트 Reader라고 한다.

    -Reader는 몇가지 미리 정의되어있는데,FixedLengthRecordReader,TFRecordReader등이 있다.


    -reader는 아래와 같이 쓸 수 있다.


    reader=tf.TextLineReader()

    key,value=reader.read()


    3.읽은 데이터를 디코딩해주는 컴포넌트를 Decoder라고 한다.

    -reader 로 읽은 데이터는 원시데이터 raw이므로 파싱을 해줘야한다.

    -Decorder도 reader와 마찬가지로 미리 정의되어있는데 JSON,CSV등 데이터포멧에 대해 정의가 되어있다.


    -csv의 경우 아래와 같이 쓸 수 있다.

    record_default=[["null"],[0]]

    val1,val2=tf.decode_csv(value, record_defaults=record_defaults,field_delim=",")


    이렇게 하면 각 필드의 디폴트값을 지정해주는 동시에 데이터 타입을 지정해줄 수 있다.


    4.이제 읽은 파일을 한번 출력해보자


    with tf.Session() as sess:

    coord=tf.train.Coordinator()

    threads=tf.train.start_queue_runners(sess=sess,coord=coord)


    for i in range(100):

    print(sess.run([val1,val2])


    coord.request_stop()

    coord.join(trheads)



    출처url

    http://bcho.tistory.com/1163

    http://bcho.tistory.com/1165

    profile
    위지원

    데이터와 관련된 일을 모두 좋아합니다

    저작자표시 (새창열림)

    '2017년 > machine learn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머신런닝에관해 좋은글  (0) 2017.08.21
    텐서플로우 선형회귀에 대해 알아보자  (0) 2017.08.16
    텐써플로우 큐  (0) 2017.08.01
    머신런닝 기초  (0) 2017.06.27
    선형 회귀 분석  (0) 2017.06.23

    잠깐만요~! 읽으신김에 이런 글들은 어떠세요? 👀

    • 머신런닝에관해 좋은글 2017.08.21
    • 텐서플로우 선형회귀에 대해 알아보자 2017.08.16
    • 텐써플로우 큐 2017.08.01
    • 머신런닝 기초 2017.06.27
    맨 위로
전체 글 보기
Tistory 로그인
Tistory 로그아웃
로그아웃 글쓰기 관리

열정! 열정! 열정! 🔥

Designed by Nana
블로그 이미지
위지원
데이터와 관련된 일을 모두 좋아합니다

티스토리툴바

티스토리툴바

단축키

내 블로그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Q
Q
새 글 쓰기
W
W

블로그 게시글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E
E
댓글 영역으로 이동
C
C

모든 영역

이 페이지의 URL 복사
S
S
맨 위로 이동
T
T
티스토리 홈 이동
H
H
단축키 안내
Shift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