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지원의 데이터 일기 🐈
Home
  • 분류 전체보기 (564)
    • ✎ 2025년 (5)
    • 2024년 (16)
    • 2023년 (6)
    • 2022년 (35)
      • Developement (22)
      • Error (9)
    • 2021년 (68)
      • ERROR (9)
      • 알고리즘 (11)
      • 개발공부 (21)
      • Data (15)
      • 21.下 (12)
    • 2020년 (164)
      • 코테 (84)
      • Development (29)
      • 정처기 (41)
    • 2019년 (27)
    • 2018년 (89)
      • English Speaking (8)
      • Error (12)
      • C, Java, FileSystem (13)
      • DataBase (15)
      • Java (2)
      • 지식 (16)
      • Go (3)
      • spark (9)
      • 영어 (5)
      • 알고리즘 (6)
    • 2017년 (143)
      • Error (17)
      • machine learning (16)
      • Spark (20)
      • Database (19)
      • Python (17)
      • Spring (9)
      • etc. (10)
      • 백준 (5)
      • Google Platform (12)
      • web Development (7)
      • Docker (3)
      • Linux (8)
Home
  • 분류 전체보기 (564)
    • ✎ 2025년 (5)
    • 2024년 (16)
    • 2023년 (6)
    • 2022년 (35)
      • Developement (22)
      • Error (9)
    • 2021년 (68)
      • ERROR (9)
      • 알고리즘 (11)
      • 개발공부 (21)
      • Data (15)
      • 21.下 (12)
    • 2020년 (164)
      • 코테 (84)
      • Development (29)
      • 정처기 (41)
    • 2019년 (27)
    • 2018년 (89)
      • English Speaking (8)
      • Error (12)
      • C, Java, FileSystem (13)
      • DataBase (15)
      • Java (2)
      • 지식 (16)
      • Go (3)
      • spark (9)
      • 영어 (5)
      • 알고리즘 (6)
    • 2017년 (143)
      • Error (17)
      • machine learning (16)
      • Spark (20)
      • Database (19)
      • Python (17)
      • Spring (9)
      • etc. (10)
      • 백준 (5)
      • Google Platform (12)
      • web Development (7)
      • Docker (3)
      • Linux (8)
블로그 내 검색
포트폴리오

위지원의 데이터 일기 🐈

데이터를 사랑하고 궁금해하는 기록쟁이입니다! 😉 Super Data Girl이 되는 그날까지🏃‍♀️ 화이팅!

  • 🖥 깃블로그
  • 🌍 위키원
  • 📑 내맘대로 스크랩
  • 💌 메일
  • 2020년/Development

    딥러닝 공부 #2

    2020. 12. 7. 22:45

    by. 위지원

    새벽 6시 기상 4주차다. 졸려주거... 근데 신기하게 이제 6시면 눈이 떠진다. 😴근데 졸리긴하다

     

    오늘은 미분 또 간단히 듣고... 미분 매일 새로워 짜릿해..미분 매번 새로워.. 새로워..

    leebaro.tistory.com/entry/%EB%8D%B0%EC%9D%B4%ED%84%B0-%EB%B6%84%EC%84%9D-%EC%8B%9C-%EC%8B%9D%EC%97%90-%EB%A1%9C%EA%B7%B8%EB%A5%BC-%EC%B7%A8%ED%95%98%EB%8A%94-%EC%9D%B4%EC%9C%A0

    데이터 분석 시 식에 로그를 취하는 이유

    데이터 분석에서 log의 중요성에 대해서 이야기 해보겠다. 데이터 분석을 하기 위해 log를 취하는 이유는 한마디로 정규성을 높이고 분석(회귀분석 등)에서 정확한 값을 얻기 위함이다. 데이터 간

    leebaro.tistory.com

     

     

    아래 영상으로 시작했다 🙂👌1.5배로 가즈아.... 

    www.youtube.com/watch?v=kPxpJY6fRkY&feature=youtu.be&ab_channel=SungKim

     

     

     

     

    로지스틱회귀와 선형회귀는 그림만 봐도 이해할 수 있다. 

    incredible.ai/machine-learning/2016/04/26/Logistic-Regression/

    Logistic Regression

    The Problem of Linear Regression Linear regression model은 가장 기초적이면서도 많이 사용되는 모델중의 하나이며, \(\mathbf{X}\) 가 주어졌을대 \(\mathbf{Y}\) 에 대한 평균값을 예측을 합니다. 해당 line은 regression

    incredible.ai

     

     

    사이킷런 치트시트

     

    위에 치트시트 외엔 tensorflow.blog/2017/01/17/scikit-learn-pandas-cheat-sheet/ 에서 더 볼 수 있다. 세상에 이런게 있었다니! 역시 사람은 아는것이  힘이다. 요걸 아주 요기나게 사용할 수 있을 것 같다 ^^!

     

    위 블로그에서 "사이킷런과 판다스를 좋아한다면, 잘 정돈된 이 치트 시트를 프린트해서 책상에 붙이고 싶은 충동을 억제하기 힘들 것 같습니다." 라는 말을 했는데, 어쩜 맞다.. 만약에 사내에서 외부망 사용이 가능했다면 당장 프린트했을 것 같다 ㅋㅋ


    그렇게 야심한 밤에 흘러 흘러... 위지원은 갑자기 수학을 보기 시작했다... 수학을 정말 못하지만,, 할때마다 재밌는건 어쩔 수 없다.. 신은 왜 흥미만 주신것인가?

     

     

    oh God..

     

    ㅋㅋhttps://youtu.be/euH9C61ywEM

    정말 설명 잘하신다 붐업드립니다.

     베이즈 정리: 사전확률(불확실성을 가진)을 증거를 가지고 본 확률의 신뢰도를 어떻게 갱신할 수 있는지를 수학적으로 알고리즘을 밝혀놓은 것

     

    베이즈안 정리는 TP/(TP+FP)를 말한다. 

    저작자표시 (새창열림)

    '2020년 > Development' 카테고리의 다른 글

    딥러닝 공부 #3  (0) 2020.12.13
    캐글을 써보자  (0) 2020.12.08
    사이킷런을 사용해보자  (0) 2020.12.02
    Tensorflow 2.0 , Keras를 이용하여 선형회귀 코드 작성하기  (3) 2020.12.02
    MaxOS에 Docker를 이용하여 TensorFlow설치하기  (0) 2020.12.01

    잠깐만요~! 읽으신김에 이런 글들은 어떠세요? 👀

    • 딥러닝 공부 #3 2020.12.13
    • 캐글을 써보자 2020.12.08
    • 사이킷런을 사용해보자 2020.12.02
    • Tensorflow 2.0 , Keras를 이용하여 선형회귀 코드 작성하기 2020.12.02
    맨 위로
전체 글 보기
Tistory 로그인
Tistory 로그아웃
로그아웃 글쓰기 관리

열정! 열정! 열정! 🔥

Designed by Nana
블로그 이미지
위지원
데이터와 관련된 일을 모두 좋아합니다

티스토리툴바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