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Minikube를 사용해서 클러스터 생성하기
목표 쿠버네티스 클러스터가 무엇인지 배운다. Minikube가 무엇인지 배운다. 온라인 터미널을 사용해서 쿠버네티스 클러스터를 시작한다. 쿠버네티스 클러스터 쿠버네티스는 컴퓨터들을 연결하
kubernetes.io
쿠버네티스 클러스터는 두 가지 형태의 자원으로 구성된다.
- 컨트롤 플레인은 클러스터를 조율한다.
- 노드는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하는 작업자(worker)이다.
$ minikube start$ kubectl cluster-infoKubernetes master is running at https://127.0.0.1:64919KubeDNS is running at https://127.0.0.1:64919/api/v1/namespaces/kube-system/services/kube-dns:dns/proxyTo further debug and diagnose cluster problems, use 'kubectl cluster-info dump'.$ kubectl get nodesNAME STATUS ROLES AGE VERSIONminikube Ready control-plane,master 28m v1.20.2디플로이먼트? .. 이걸 오 ㅐ또하는..? 그래도 다른게 있어서 그런거라 생각하고 따라가보겠다.
- 애플리케이션의 인스턴스를 어떻게 생성하고 업데이트하는 역할
- 머신의 장애나 정비에 대응할 수 있는 자동 복구(self-healing) 메커니즘을 제공한다.
terminal1
아래 명령어를 이용해 디플로이먼트를 생성해준다.
$ kubectl create deployment kubernetes-bootcamp --image=gcr.io/google-samples/kubernetes-bootcamp:v1deployment.apps/kubernetes-bootcamp created$ kubectl get deploymentsNAME READY UP-TO-DATE AVAILABLE AGEkubernetes-bootcamp 0/1 1 0 14s아래의 작업들은 지난번에 알아본것과 동일하게.. 외부접속을 허용케 하는 작업이다.
" By default they are visible from other pods and services within the same kubernetes cluster, but not outside that network. "
아래 명령어를 이용해 프록시를 run해준다.
$ echo -e "\n\n\n\e[92mStarting Proxy. After starting it will not output a response.Please click the first Terminal Tab\n";kubectl proxyStarting Proxy. After starting it will not output a response. Please click the firstTerminal TabStarting to serve on 127.0.0.1:8001curl http://localhost:8001/version" We now have a connection between our host (the online terminal) and the Kubernetes cluster. "
terminal2
지난번과 과정이 조금 다르긴하다.
# we can query the version directly through the API using the curl command:curl http://localhost:8001/version <<- 이게 쿼리날리는거다{"major": "1","minor": "20","gitVersion": "v1.20.2","gitCommit": "faecb196815e248d3ecfb03c680a4507229c2a56","gitTreeState": "clean","buildDate": "2021-01-13T13:20:00Z","goVersion": "go1.15.5","compiler": "gc","platform": "linux/amd64"}%아래의 명령어를 이용해 .. pod_name 환경변수에 설정을 해줄 수 있다..
export POD_NAME=$(kubectl get pods -o go-template --template'{{range .items}}{{.metadata.name}}{{"\n"}}{{end}}')echo Name of the Pod: $POD_NAMEName of the Pod: kubernetes-bootcamp-57978f5f5d-lql7c위에 뜬 주소로 가면 이와같이 확인이 가능하다. 위지원데이터 엔지니어로 근무 중에 있으며 데이터와 관련된 일을 모두 좋아합니다!. 특히 ETL 부분에 관심이 가장 크며 데이터를 빛이나게 가공하는 일을 좋아한답니다 ✨
'2021년 > 개발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쿠버네티스 예제: mongodb+kubernetes (0) 2021.04.12 Python decorator (2) 2021.04.12 minikube 설치 및 간단하게 사용하기 (0) 2021.04.06 도커를 설치하고 컨테이너 실행하기 (0) 2021.04.02 동적 타입 멈춰~! 파이썬의 타입힌팅 (4) 2021.03.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