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지원의 데이터 일기 🐈
Home
  • 분류 전체보기 (563)
    • ✎ 2025년 (4)
    • 2024년 (16)
    • 2023년 (6)
    • 2022년 (35)
      • Developement (22)
      • Error (9)
    • 2021년 (68)
      • ERROR (9)
      • 알고리즘 (11)
      • 개발공부 (21)
      • Data (15)
      • 21.下 (12)
    • 2020년 (164)
      • 코테 (84)
      • Development (29)
      • 정처기 (41)
    • 2019년 (27)
    • 2018년 (89)
      • English Speaking (8)
      • Error (12)
      • C, Java, FileSystem (13)
      • DataBase (15)
      • Java (2)
      • 지식 (16)
      • Go (3)
      • spark (9)
      • 영어 (5)
      • 알고리즘 (6)
    • 2017년 (143)
      • Error (17)
      • machine learning (16)
      • Spark (20)
      • Database (19)
      • Python (17)
      • Spring (9)
      • etc. (10)
      • 백준 (5)
      • Google Platform (12)
      • web Development (7)
      • Docker (3)
      • Linux (8)
Home
  • 분류 전체보기 (563)
    • ✎ 2025년 (4)
    • 2024년 (16)
    • 2023년 (6)
    • 2022년 (35)
      • Developement (22)
      • Error (9)
    • 2021년 (68)
      • ERROR (9)
      • 알고리즘 (11)
      • 개발공부 (21)
      • Data (15)
      • 21.下 (12)
    • 2020년 (164)
      • 코테 (84)
      • Development (29)
      • 정처기 (41)
    • 2019년 (27)
    • 2018년 (89)
      • English Speaking (8)
      • Error (12)
      • C, Java, FileSystem (13)
      • DataBase (15)
      • Java (2)
      • 지식 (16)
      • Go (3)
      • spark (9)
      • 영어 (5)
      • 알고리즘 (6)
    • 2017년 (143)
      • Error (17)
      • machine learning (16)
      • Spark (20)
      • Database (19)
      • Python (17)
      • Spring (9)
      • etc. (10)
      • 백준 (5)
      • Google Platform (12)
      • web Development (7)
      • Docker (3)
      • Linux (8)
블로그 내 검색
포트폴리오

위지원의 데이터 일기 🐈

데이터를 사랑하고 궁금해하는 기록쟁이입니다! 😉 Super Data Girl이 되는 그날까지🏃‍♀️ 화이팅!

  • 🖥 깃블로그
  • 🌍 위키원
  • 📑 내맘대로 스크랩
  • 💌 메일
  • 2017년/machine learning

    텐써플로우 큐

    2017. 8. 1. 16:57

    by. 위지원

    텐서플로우 큐라는게 있는데 (내가이걸 정리했었는지 스쳐지나가듯이 읽었는지 기억이안난다)

    피딩을 하기위해선 데이터를 전부읽어와서 넣어줘야하는 방식인데


    이때 파일을 읽어가면서 처리 하기위해서 텐서큐를 이용하는 것이다!


    이때 큐에 데이터를 넣는것을 queue Runner 라는것이 하고  

    enqueue_opration이 큐러너가 어떤 데이터를 어떻게 넣을지 정의하고 

    queue runner가 멀티스레드인데 이 스레드를 Coordinator가 관리해준다.


    코드로 알아본다면 아래와같다.

    import tensorflow as tf q=tf.FIFOQueue(10,"float") #큐의길이와 데이터타입 정의 e_ops=q.enqueue_many(([1.0,2.0,3.0],)) qr=tf.train.QueueRunner(q,[e_ops,e_ops,e_ops]) #멀티스레딩을 위해 3개를 지정한것이다. [e_ops]*쓰레드수도 가능 sess=tf.Session() coord=tf.train.Coorinator() threads=qr.create_threads(sess,coord=coord,start=True) coord.request_stop() #큐러너의 쓰레드들을 모두 정지시킨다 coord.join(Threads) sess.close()


    출처url

    http://bcho.tistory.com/1163

    profile
    위지원

    데이터 엔지니어로 근무 중에 있으며 데이터와 관련된 일을 모두 좋아합니다!. 특히 ETL 부분에 관심이 가장 크며 데이터를 빛이나게 가공하는 일을 좋아한답니다 ✨

    저작자표시 (새창열림)

    '2017년 > machine learn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머신런닝에관해 좋은글  (0) 2017.08.21
    텐서플로우 선형회귀에 대해 알아보자  (0) 2017.08.16
    tensorflow csv file 불러오기  (0) 2017.08.07
    머신런닝 기초  (0) 2017.06.27
    선형 회귀 분석  (0) 2017.06.23

    잠깐만요~! 읽으신김에 이런 글들은 어떠세요? 👀

    • 텐서플로우 선형회귀에 대해 알아보자 2017.08.16
    • tensorflow csv file 불러오기 2017.08.07
    • 머신런닝 기초 2017.06.27
    • 선형 회귀 분석 2017.06.23
    맨 위로
전체 글 보기
Tistory 로그인
Tistory 로그아웃
로그아웃 글쓰기 관리

열정! 열정! 열정! 🔥

Designed by Nana
블로그 이미지
위지원
데이터 엔지니어로 근무 중에 있으며 데이터와 관련된 일을 모두 좋아합니다!. 특히 ETL 부분에 관심이 가장 크며 데이터를 빛이나게 가공하는 일을 좋아한답니다 ✨

티스토리툴바

티스토리툴바

단축키

내 블로그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Q
Q
새 글 쓰기
W
W

블로그 게시글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E
E
댓글 영역으로 이동
C
C

모든 영역

이 페이지의 URL 복사
S
S
맨 위로 이동
T
T
티스토리 홈 이동
H
H
단축키 안내
Shift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